질환백과
- 정의
- 당원 축적병은 섭취된 포도당이 글리코겐의 형태로 간, 근육, 신장 등에 축적됨으로써, 이를 필요할 때 포도당으로 전환시켜 이용하지 못하는 탄수화물 대사 장애 질환을 의미합니다. 결핍된 효소의 종류에 따라 당원 축적병의 종류가 달라집니다. 한국인의 경우 Ia형이 가장 흔합니다. 대부분 상염색체 열성 유전이며 발생 빈도는 1~3만 명당 1명입니다. - 당원 축적병이 생기면 간과 신장이 비대해지고, 성장 장애, 저혈당, 고젖산혈증, 경련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환자는 성장하면서 간 종양, 신부전, 골다공증의 문제를 겪습니다. 생옥수수 전분 가루를 이용한 식이요법이 중요합니다. 장기 이식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 원인
- 글리코겐의 합성 및 분해의 말단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인 glucose-6-phosphatase라는 효소의 활성이 저하되어,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전환시킬 수 없어서 글리코겐이 간, 신장, 적혈구 등에 축적됩니다. Glucose 6-phosphatase의 유전자는 17번 염색체 장완에 위치합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 돌연변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증상
- 당원 축적병의 증상으로는 작은 키, 성장 장애, 간과 신장의 비대, 저혈당으로 인한 경련, 출혈 경향, 공복 시 저혈당, 고젖산혈증, 고요산혈증, 고지혈증, 양 볼에 지방이 많이 축적되어 나타나는 인형 같은 얼굴 등이 나타납니다.  
- 진단
- 당원 축적병을 진단하기 위해 간 생검을 시행하여 당원의 축적 및 효소 활성의 저하를 확인합니다. 필요할 경우 유전자 검사도 가능합니다. 
- 치료
- 당원 축적병 환자는 포도당 이외의 단당류(과당이나 유당)가 체내에서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면 이것들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저혈당을 예방하기 위해 자주 식사를 해야 합니다. 천천히 포도당이 흡수되는 생옥수수(가열하지 않은 옥수수) 전분 가루(약 2g/kg)를 50% 용액으로 6시간마다 섭취합니다. 열량을 과잉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요산이 아주 높을 때는 요산합성 억제제를 사용합니다. - 현재는 문맥과 하대정맥을 봉합해 흡수된 당질이 간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외과적인 치료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성장 장애가 교정되지 않거나 간에 종양이 생겼을 경우 간 이식이 효과적입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