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정보
- 정의
- 복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몸통과 하지를 연결하며 배 속의 장기를 보호하고 있는 뼈입니다. 골반은 양쪽에 2개의 볼기뼈와 뒤쪽의 천골, 미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골반은 척추와 하지를 연결해주고 있어 우리가 걷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위치
- 복부 하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래로 갈수록 깔대기모양처럼 좁아지게 됩니다. 
- 구조
- 골반은 양쪽에 2개의 볼기뼈와 뒤쪽의 천골, 미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관골(볼기뼈)- 좌우 대칭으로 존재하며 궁둥뼈(좌골), 엉덩뼈(장골), 두덩뼈(치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좌골(궁둥뼈) - 고관절 아랫부분이며 앉을때 힘을 받는 좌골결절이 양쪽으로 위치합니다. 안에 있는 돌출부위를 좌골극이라 하는데 이 사이의 거리는 분만에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장골(엉덩뼈)- 골반의 위쪽과 뒷면을 구성하는 볼기뼈 중 가장 큰 부분입니다. - 치골(두덩뼈) - 골반의 앞쪽에 존재하며 인대와 연골로 형성되어 치골결합을 형성합니다. - 천골(엉치뼈) - 골반의 뒤쪽을 이루는 5개의 척추골로 융합된 뼈를 말하며 골반 입구의 짧은 경선으로 산과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 미골(꼬리뼈) - 엉치뼈의 하부에 존재하며 4개의 척추골이 융합된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 기능
- 골반은 척추와 하지를 연결하여 체중을 지탱하고 걷는 것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그리고 내장, 자궁, 난소, 방광 등 주요한 장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헬스팁
- 아두골반불균형 - 임신부에게 정상적인 질식분만이 가능한지 보기 위한 골반계측법이 있습니다. 정상적인 질식 분만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골반의 반경이 태아의 가장 큰 머리반경보다 커야 합니다. - 여성과 남성의 골반 차이 
 여성은 분만을 해야 하기 때문에 남성의 골반과 구조적으로 다릅니다. 여성의 골반은 남성의 골반보다 더 넓고 짧아 골반 내 공간이 더 넓습니다. 남성의 골반입구는 심장모양인 반면 여성은 넓은 타원형이고 골반출구도 더 넓습니다. 출산시 아이의 머리가 나와야 하기 때문에 천골은 뒤로 더 기울어져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