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정보
- 정의
- 가슴의 왼쪽에 위치한 근육으로 된 기관으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관입니다. 심장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전신으로 순환하게 해주며, 1분에 60~100회정도 수축합니다. 심장은 2개의 심방, 2개의 심실로 이루어져 있고, 이 사이에 판막이 존재하여 피가 역류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 위치
- 가슴의 왼쪽에 위치하며 흉골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2/3, 오른쪽으로 1/3이 위치하게 됩니다.  
- 구조
- 심장은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쪽에 있는 방 2개를 심방, 아래쪽에 있는 방 2개를 심실이라고 합니다. - 심방과 심실은 혈액이 섞이지 않도록 좌, 우 분리되어 있으며 좌심방, 좌심실, 우심방, 우심실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 우심방 -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으로 들어온 정맥혈을 받아들입니다. - 우심실 - 우심방으로 온 혈액을 받아들이고 우심실의 수축으로 혈액을 폐동맥으로 이동시킵니다. - 좌심방 - 폐의 모세혈관에서 가스교환이 일어난 후 산소화된 동맥혈을 폐정맥을 통해 받아들입니다. - 좌심실 - 좌심방으로부터 동맥혈을 받아들이고 좌심실의 수축을 통해 대동맥으로 혈액을 이동시킵니다. - 심장판막 - 4개의 방 사이에는 판막이 존재하는데, 한번 나간 피가 역류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판막들인 삼첨판, 폐동맥판, 승모판, 대동맥판이 있습니다. - 심장벽 - 심장벽은 심장바깥막, 심장근육층, 심장내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심장근육층의 두께는 힘에 따라 변화하는데, 전신으로 혈액을 펌프질해주어야 하는 좌심실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층이 가장 두껍고 심방의 벽은 상대적으로 얇습니다. - 심장내막은 심장의 판막을 덮고 있습니다. 
- 기능
- 심장은 수축과 이완을 통해 온 몸에 혈액을 순환시켜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온 몸에서 산소를 공급하여 산소가 떨어진 정맥피는 우심방으로 들어오게 되고 이는 우심실을 통해 폐동맥으로 보내집니다. 폐에서 산소 공급을 충분히 받은 혈액은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 좌심실로 들어가 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공급되게 됩니다. 
- 헬스팁
- 혈압이란 - 혈압은 심장에서 박출된 혈액의 동맥내 압력을 말합니다.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이 동맥속으로 밀려나갔을때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하고 심장이 확장하여 혈액을 받아들일때의 압력을 이완기혈압이라고 합니다. 
 혈압측정방법
 혈압 측정 전 적어도 5분 이상의 안정이 필요합니다.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등을 기대고 편하게 앉은 상태에서 혈압을 측정해야 합니다.
 혈압 측정할 팔을 책상위에 올려놓아 심장높이에서 혈압을 측정합니다.
 커프의 하단이 팔꿈치 접히는 선의 위쪽으로 약 2cm 위로 오도록 상완에 위치시킵니다. 커프가 너무 느슨하면 안되고 커프 안으로 손가락 1개 정도 들어갈 여유가 있으면 됩니다.
 혈압은 측정시간, 장소, 자세, 긴장, 활동에 의해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확한 혈압 측정을 위해서는 혈압을 2분 간격으로 2번 이상 측정하고 2~3일 간격으로 다시 측정하여야 합니다.
 운동, 담배, 커피, 술을 마셨을 경우 정확한 혈압 측정이 불가능합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멈춰가는 심장을 살리기 위해, 매일 치열한 사투를 벌이다 [심장내과 중환자실(CCU) 전담의사 편 - 하루;병원에 사는 사람들] 미리보기](https://img.youtube.com/vi/4hHIG5i-8S0/mqdefault.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