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open

닫기
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파킨슨병 환자의 영양관리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00:00
따라서 파킨슨 병 환자를 위한 특별한 식사 요법은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가장 첫 번째로 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균형적인 식사는 아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다양한 식품을 통해서 신체에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식사를 말하고 있습니다.

00:24
그림 하나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이 그림의 이름은 식품구성자전거 입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영양학회에서 만들어서 교육하고 있는 그림입니다. 매일 어떻게 식사를 해야 하는지를 요약하여 보여주고 있습니다.

00:42
자전거의 뒷바퀴를 보면 뒷바퀴 안에 다양한 식품들이 들어있고 매일 필요한 만큼의 식품들을 섭취하여 뒷바퀴가 무너지지 않고 동그란 원을 잘 유지하듯이 균형 잡힌 식사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00:59
자전거를 타고 있는 사람이 우리가 되겠는데 규칙적인 운동을 통하여 건강을 지켜나가는 표현하고 있는 그림입니다.

01:12
이 뒷바퀴에 있는 다섯 가지의 식품군을 한가지씩 보여드리도록 하겠는데 먼저 곡류입니다. 곡류는 뒷바퀴를 보면 가장 많은 범위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바로 우리가 섭취하고 있는 주식을 말하고 있는데 매일 2-4번 정도 섭취를 하고 있고 조정하지 않는 전곡류인 현미나 통밀 같은 것도 모두 포함을 하고 있습니다.

01:39
두 번째로 우리에게 필요한 고기, 생선, 달걀, 콩류입니다. 이 부분은 곡류 옆을 차지 하고 있는데 이것은 매일 3-4회 정도 한 끼에 한 가지에서 두 가지 정도는 섭취해야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02:00
아래 사진처럼 콩, 두부, 생선, 살코기가 바로 여기에 해당하는 식품 종류가 되겠습니다. 세 번째로 필요한 식품군은 바로 채소류 입니다.

02:12
이 채소류는 단백질 칸 옆에 비슷한 크기로 차지 하고 있는데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우리 주변에서는 다양한 색깔의 채소들이 많이 있습니다.

02:24
매 끼니 채소들을 나물이나 생채, 쌈 등을 통하여 넉넉하게 하루 6접시 정도 섭취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매끼 식사 안에 섭취하는 반찬과 주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면 우리가 매일 섭취해야 하는 간식종류 2가지가 우리가 섭취해야 할 식품군 종류에 포함되어 있는데 바로 과일류 입니다.

02:48
과일류도 자전거 뒷바퀴 한 칸을 차지 하고 있는데 과일은 아래 사진처럼 다양한 색깔의 과일이 있고 매일 한 개에서 두 개정도가 적절한 섭취의 권장량으로 권고 하고 있습니다.

03:03
그리고 마지막으로 필요한 영양소 중에 다섯 번째 식품군은 바로 우유와 유제품 류인데 이것 역시 마지막 칸을 채우고 있고 우리가 쉽게 접하는 우유를 매일 한 두잔 정도 섭취하는 것이 적정한 권장량으로 보고 있습니다.

03:22
가장 빠지지 않고 꼭 챙겨야 할 부분이 수분인데 자전거의 앞 바퀴에 해당하고 있습니다. 하루에 8컵 정도의 충분한 물을 섭취하여 수분섭취를 하도록 그림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균형적인 식사를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어떻게 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03:49
평소에 바쁘게 생활을 하고 여러 가지 반찬 준비가 어려운 경우에는 이렇게 하얀 쌀밥과 김치 한 가지만 두고 간단히 먹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앞에서 보여드린 균형적인 영양섭취에 많은 부분이 부족하게 됩니다.

04:07
이런 경우에 단백질, 칼슘, 비타민, 무기질 등을 더 강화하기 위하여 간단하게 바꿔보았습니다. 잡곡밥과 시금치 굴국을 예로 들었습니다. 하얀 쌀밥 보다는 여러 가지 잡곡이나 콩 등을 섞어주거나 국 자주 드시는데 국 안에도 채소 건더기 많이 넣어 주고 굴이나 조개 두부 같은 건더기를 넣어주면 간단하게 식사를 하더라도 영양소를 조금 더 골고루 섭취할 수 있습니다.

04:37
다음은 간단한 빵 식 종류를 보겠습니다. 보통 하얀 식빵에 과일 잼을 발라서 드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도 단백질, 섬유소, 비타민, 무기질을 강화하기 위하여는 잡곡 식빵을 이용해도 좋고 계란과 여러 가지 남는 채소들을 이용하고 스크램블 에그나 계란 야채 오믈렛 등을 같이 곁들여 주면 처음에 하얀 빵에 잼을 발라먹는 것 보다는 조금 더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습니다.
05:12
지금부터는 상황에 따른 식사관리에 따라서 몇 가지를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는 변비 관련된 영양 요법에 대하여 좀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변비는 대변을 보기 힘들거나 3일 이상 대변이 없는 경우, 변이 지나치게 굵거나 남아있는 느낌이 드는 상태를 말하고 있습니다.

05:37
변비의 원인 중에서 식이와 관련된 사항을 고려해 볼 수도 있습니다. 변비 원인을 살펴보면 불규칙한 생활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늦게 자거나 아침식사를 거르거나 하는 불규칙한 식사가 원인이 될 수 도 있습니다.

05:58
앞에서 보여드렸다시피 식욕이 떨어지고 삼키거나 소화력에 문제가 생겨서 섭취량 자체가 적어지는 경우에 변비의 원인 중 하나가 될 수도 있습니다. 세 번째로 물 자체를 싫어해서 수분 섭취가 부족한 경우도 변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06:19
마지막으로는 잡곡이나 생야채, 생과일 같은 식이섬유 자체가 부족하여 변비의 원인이 올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변비의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식사 관련된 부분에서는 잘못된 식습관 자체가 변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06:41
변비를 도와줄 수 있는 식이섬유소에 대하여 잠깐 보여 드리면 식이섬유소는 우리 몸 안에 소화효소가 되지 않고 분해되지 않는 물질이라서 대변 양도 증가시키고 대변이 통과하는 시간을 빠르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07:00
우리가 하루 섭취해야 할 식이 섬유소의 권장양은 하루에 20-25g정도로 되어 있습니다. 식이섬유소를 갑자기 많은 양을 섭취하면 가스가 차거나 복부에 불편감이 있기 때문에 적응도에 따라 천천히 늘려야 하고 식사로 변비 해결이 안 될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선생님과 상의하는 방법을 고려 해봐야 합니다.

07:26
식이섬유소를 권장량 만큼 섭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림으로 보여드리면 우리가 매끼 섭취하는 잡곡밥 한 그릇 채소 두 접시 정도 과일 한 두 개 정도를 섭취한다고 했을 때 그 안에 들어가는 식이섬유소의 함량은 잡곡밥은 3g, 채소 두 접시는 4g, 과일 한 두 개 정도는 2g정도의 함량이 들어있는데 3개를 합치면 9g정도의 식이섬유소를 섭취할 수 있는데 이렇게 구성된 식사를 하루 3끼 규칙적으로 할 경우 충분히 하루 권장양인 20-30g을 모두 섭취할 수 있을 것입니다.

08:15
음식 종류에 따라서 섬유소 함량을 확인해 보면 음식 중에서 국수 한 그릇을 드시는 경우도 있고 한식으로 한 상을 차려 드시거나 아니면 햄버거나 콜라 같이 간단히 드시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 섬유소 함량도 각각 차이가 많이 납니다.

08:39
따라서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는 한식 1인분, 즉 앞에서 보여드린 자전거 뒷바퀴의 식품군을 모두 골고루 드신다면 섬유소 함량이 많아 섭취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08:56
변비 해결에 도움이 되는 음식의 예로 두 가지 보여 드리겠습니다. 비빔밥 같은 경우도 제철에 나오는 채소들을 이용하여 채소 듬뿍 담아서 드시고 쌀밥 대신에 콩이나 잡곡밥을 드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09:15
옆에 있는 찌개처럼 찌개 안에 채소 건더기 많이 넣어주고 두부나 조개 같은 것도 넣어주면 단백질 보충도 같이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식사 관리에서는 씹거나 삼킴 불편에 대한 영양요법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09:37
삼키는 데에 불편할 때에는 식사 단계를 3단계로 구분을 하고 있는데 1단계는 부드럽고 덩어리가 완전히 없는 상태입니다. 옆에 보이는 찬기에 들어있는 찬은 채소를 갈아서 넣은 형태입니다. 요거트 정도의 농도로 숟가락으로 떠서 드실 수 있는 정도입니다.

10:01
조금 더 덩어리 진 음식을 드실 수 있으면 두 번째 단계입니다. 식품을 잘게 다져서 씹거나 삼키기 쉬운 상태로 만든 식사입니다. 옆에 보이는 것은 채소를 곱게 다져서 만든 찬입니다.

10:20
3단계는 식품의 원래 형태를 가지고 있는 촉촉하게 만든 형태라서 옆에서 보이는 찬처럼 양배추, 오이 등의 형태가 다 보이는데 부드럽게 해서 드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렇게 3가지 단계가 있는데 이것을 가지고 한끼 상을 차려 보았습니다.

10:41
1단계 식사의 갈은 형태의 식사입니다.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곱게 갈아있어서 어떤 식재료를 사용했는지 구분이 안될 수 있는데 아래 있는 죽 그릇에 들어있는 것은 채소와 고기를 섞어서 영양 죽을 갈아 넣은 형태입니다.

11:01
위에 있는 찬기에는 닭 가슴살을 곱게 갈거나 채소 찬을 곱게 갈아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죽 옆에 찬기에는 사과를 곱게 갈아 넣은 것입니다. 사과나 바나나를 갈아 넣어주면 한 끼 상차림 안에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습니다.

11:26
두 번째 단계가 다져진 형태입니다. 채소 죽을 이용한 영양 죽 한 공기랑 닭고기 다져져 있고 오이나 양배추 같은 채소도 다지고 사과도 다졌습니다. 역시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기 쉽게 하였습니다.

11:46
3단계로 넘어가면 무른 형태라서 어느 정도 덩어리가 있고 부드럽고 무르게 준비하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이와 같이 씹거나 삼키는 것이 불편하여도 음식의 형태나 질감을 변화시켜 다섯 가지 식품군을 모두 골고루 섭취하여 균형 잡힌 식사를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2:07
삼킴 불편 환자를 위한 하루 식단 예를 보여주려고 가지고 왔습니다. 영양 죽을 같이 이용해주고 단백질 찬과 채소 찬을 챙겨주시고 중간 간식으로 요거트나 과일 같이 섭취해주면 하루에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습니다.

12:29
세 번째로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식사요법을 간단히 보여 드리겠습니다. 역시 이것도 다섯 가지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는 균형 잡힌 식사를 하여야 하고 칼슘이 많이 들어있는 식품을 기억해서 섭취해 주시고 당연히 음주는 안되고 짠 음식 제한해 주시고 과식하지 않으며 마지막으로 규칙적으로 햇빛을 보면서 적당히 운동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13:02
칼슘 함량이 조금 많이 들어있는 식단의 예를 보여 드리겠습니다. 아침, 점심, 저녁에 칼슘이 많이 들어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식단을 구성해 보았습니다. 중간에 간식으로 우유와 유제품을 하루에 한 두 개 섭취해 주면 도움이 됩니다.

13:24
마지막으로 식사관리에서 소화력 저하에 대한 부분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소화 불편함이 있는 경우에는 천천히 잘 씹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소량씩 자주 먹는 방법과 튀김과 전 같이 기름진 음식을 제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3:47
그리고 소화가 불편할 때는 도정된 쌀밥을 드시는 것이 소화력에 도움이 됩니다. 채소 찬 드실 때 질긴 부위는 제거하고 부드러운 잎사귀 쪽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소화가 불편할 때에는 한끼에 많은 양의 식사를 드시기에 불편하기 때문에 소량씩 식사하면서 식사 후 간식으로 열량이 있는 간식을 섭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4:18
과일도 딱딱한 껍질은 제거 하고 부드러운 쪽을 섭취하는 방법을 기억해주십시오. 마찬가지로 식사 후에 1시간 정도 휴식 후 가볍게 운동을 해주는 것도 소화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소화력 저하 시 하루 식단의 예를 보여드리겠습니다.

14:44
아침, 점심, 저녁을 쭉 보면 잡곡밥 대신에 이 경우는 쌀밥을 드시는 것이 더 소화에 도움이 되고 조리 방법도 튀김과 전보다는 찌거나 살짝 볶는 정도, 중간 중간에 간식을 섭취해서 부족한 열량을 보충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15:04
마지막 요약 슬라이드 입니다. 여러 가지 영양관리에서 몇 가지 중요한 것을 정리해보면 첫 번째는 규칙적인 식사를 해야 합니다. 식사 거르지 말고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식사하고 식사량이 적다면 소량씩 나눠서 식사하면서 부족하지 않게 관리를 해야 합니다.

15:28
두 번째로 골고루 섭취하는 방법입니다. 앞에서 보여드렸던 식품군 자전거에 있었던 그림처럼 단백질, 두부, 계란, 채소/해조류를 골고루 섭취해 주고 하루 채소는 6접시 정도 넉넉하게 섭취해 주고 약간의 간식으로 과일과 유제품을 하루 한 두 개 정도 섭취하여 보충하는 것이 좋습니다.

15:54
세 번째로 다양한 빛깔의 식품군이 주변에 많이 있습니다. 무지개 빛깔처럼 여러 가지 다양한 색깔의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 8잔 정도의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 필요하고 마지막으로 조리법을 다르게 하는 방법입니다.

16:15
변비나 삼킴 장애, 소화력 저하 시에는 내 컨디션에 따른 식사 관리를 통해서 적절한 영양관리가 유지 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파킨슨병 환자와 가족을 위한 설명회

2016년 05월 25일 / 서울아산병원 대강당

05.파킨슨병 환자의 영양관리
민지연 영양사 / 서울아산병원 영양팀
16'27"

  • 현재 페이지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진료과 바로가기
  • 재단산하기관 바로가기
  • 센터 바로가기
  • 관련기관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7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美뉴스위크, 서울아산병원 5개 임상분야 세계 10위권
  • 한국산업고객만족도지수(KCSI) 종합병원 부문 9년 연속 1위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