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성 혈액 질환
블랙판 다이아몬드 증후군(Blackfan-Diamond syndrome) | ||||||||||||||||||||||||||||||||||
---|---|---|---|---|---|---|---|---|---|---|---|---|---|---|---|---|---|---|---|---|---|---|---|---|---|---|---|---|---|---|---|---|---|---|
개요블랙판 다이아몬드 증후군(Diamond-Blackfan anemia)은 백혈구와 혈소판은 정상이나 심각한 정색소빈혈(normochromic)과 대구성빈혈(macrocytic anemia)의 증상이 나타나는 골수부전성 유전질환입니다. 블랙판 다이아몬드 증후군의 약 50%에서 선천성 기형이, 약 30%에서 성장지연이 나타납니다. 약40%의 환자에서 콜티코스테로이드에 의존성을 보이고, 약 40%는 수혈에 의존하고, 약 20%에서 점차적으로 완화됩니다. 유형은 경한유형(예, 경한 빈혈, 미세한 적혈구모양의 이상이 보이나 빈혈은 없음, 빈혈이 없는 신체학적 기형)에서부터 심각한 유형(태아성 빈혈에 의한 비면역성 선천성 태아 수종)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블랙판 다이아몬드 증후군은 급성골수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골수이형성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MDS) 그리고 골원성육종을 포함한 종양 발생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진단은 기본적으로 정색소빈혈, 망상적혈구감소증, 정상이거나 미세하게 감소된 백혈구수, 증가된 혈소판수, 선택적으로 적색 세포 전구체가 결핍된 골수를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판코니 빈혈과 같은 다른 유전적인 유형의 빈혈인지 감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블랙판 다이아몬드 증후군은 리보솜단백질을 코드화하는 11가지의 유전자와 GATA1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약 55% 환자에서 이 12가지 유전자중 1가지의 돌연변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콜티코스테로이드를 12개월 이상의 소아에게 투여하는데, 이는 약 80%에서 적혈구 수가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적혈구 수혈은 콜티코스테로이드의 효과가 없는 경우에 필요합니다. 조혈모줄기세포이식(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은 혈액학적 증상을 치료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다른 혈구 감소증이 나타나거나 수혈의 의존성이 있는 경우에 고려할 수 있습니다. 악성암의 치료는 반드시 종약학과 전문의와의 협진을 통해 치료해야 합니다. 항암치료는 혈구감소증과 향후 독성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주의깊게 치료해야 합니다. 블랙판 다이아몬드 증후군은 대부분은 상염색체 우성유전(autosomal dominant manner)이지만 GATA1 돌연변이는 X 연관유전(X-linked manner)입니다.
|
유전자 유형 |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될 확률 | 검사방법 |
---|---|---|
RPS19 | ~25% | 염기서열분석 |
Deletion/duplication analysis | ||
RPL5 | ~6.6% | Sequence analysis and deletion/duplication analysis |
RPS10 | ~6.4% | |
RPL11 | ~4.8% | |
RPL35A | ~3% | |
RPS26 | ~2.6% | |
RPS24 | ~2% | |
RPS17 | ~1% | |
RPS7 | ~1% | |
RPL26 | Rare | |
GATA1 | Rare | Sequence analysis |
RPL15 | Rare | Deletion/duplication analysis |
관리
조기 진단적 평가
블랙판 다이아몬드 증후군의 진단은 아래와 같은 기준을 통해 평가할 수 있습니다.
- 혈액학적 전문의의 평가
- 발달평가
- 심근병증과 관련한 심장 전문의의 평가
- 신장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초음파 검사
- 신장과와 비뇨기과 전문의의 평가
- 유전상담
코르티코스테로이트 관리(Corticosteroids administration)
블랙판 다이아몬드 증후군의 약 40%의 환자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약 40%는 수혈에 의존성을 보이고, 약 20%에서 완화됩니다. 약 80%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 시 초기에 적혈구 수가 향상됩니다.
- 권장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프레드니손으로 초기 권장용량은 2mg/kg/day이고, 아침에 일회 구강으로 투약합니다. 치료 시기는 적어도 생후 6개월 이후의 아이에게 권장됩니다. 헤모글로빈 농축의 증가는 2-4주내에 관찰 할 수 있습니다.
-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최소의 효과가 나타나는 용량까지 천천히 감량할 수 있습니다. 적세포 헤모글로빈 농축이 80-100g/L일 경우, 또는 수혈 의존성인 경우 최소용량을 확인하게 위해 필요합니다.
-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권장되는 최대 유지용량은 이틀에 한번 ≤0.5mg/kg/day 혹은 ≤1 mg/kg입니다.
-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은 골다공증, 체중증가, 쿠싱증후군과 같은 표현형, 고혈압, 당뇨병, 성장지연, 병리학적 골절, 위궤양, 백내장, 그리고 면역력 저하가 있습니다.
적혈구 수혈(Red blood cell transfusion)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가 지속된다면 적혈수 수혈이 필요하게 됩니다. 수혈의 목표는 적혈수 헤모글로빈 농축이 80-100g/L로 이는 성장과 발달을 지속할 수 있는 알맞은 용량입니다.
조혈모세포 수혈(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조혈모세포 수혈은 블랙판 다이아몬드 증후군을 완치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수혈의존성 이거나 다른 혈구 감소증이 진행될 경우에 조혈모세포의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암치료(Cancer treatment)
악성혈액종의 치료는 반드시 종앙학과 전문의와의 협진을 통해서 치료해야 합니다.
관련 사이트 및 서적
- 이전글
- 이전 게시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 가족성 적혈구잠식성 림프조직구증(Familial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