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유전성 대사 질환

유전성 대사 질환 상세페이지
폼페병(Pompe’s disease)

개요

글리코겐 축적 질환 Ⅱ형은 근육을 주로 침범하는 글리코겐 축적 질환으로 폼페병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진행성으로 근력이 감소하고 근육이 위축되며, 호흡부전과 심근병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세포내 리소좀(lysosome) 안에서 글리코겐을 분해하는데 작용하는 효소인 a-1,4-glucosidase (acid maltase)의 결핍으로 인해 리소좀 내부에 글리코겐이 축적되어 발생하므로, 세포질 내에 글리코겐이 축적되는 다른 형의 글리코겐 축적 질환과는 구분됩니다.
미국에서는 약 4만 명당 1명 정도이나 흑인에서는 만 4천명당 1명 정도이고, 유럽에서도 약 4-5만명당 1명 정도의 빈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시아에서는 타이완이나 남부 중국에서 약 5만명당 1명 정도의 빈도를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정확한 빈도가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2005년부터 등록사업을 시작했으며, 2010년 3월 현재 약 15명 정도의 환자가 진단을 받았습니다.


원인

폼페병은 염색체 열성으로 유전하는데, 염색체 17번의 장완(q25)에 위치하는 acid alpha-glucosidase (GAA) 유전자의 이상이 원인입니다. 리소좀 축적 질환의 하나로 리소좀 내부의 acid alpha-glucosidase가 결핍되어 리소좀 내부에 글리코겐이 축적되어 발생합니다. 이 효소는 심장, 간뿐 만 아니라, 섬유모세포, 백혈구 등 전신의 조직에 분포하며, 이 효소가 부족하게 되면 당원(글리코겐, glycogen)이 축적되고 세포기능을 방해하여 손상을 입히게 됩니다. 


임상증상

증상의 중등도, 발현나이에 따라 영아형, 소아형 그리고 성인형으로 구분되며, 영아형이 가장 증상이 심하고, 임상 경과도 빠른 악화를 보입니다.
 
영아형은 임상 증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납니다. 주로 출생 후 수개월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나, 더 심한 경우는 산전에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은 심한 저긴장증과 근력 저하, 반사 저하, 큰 혀를 보이고, 심장은 매우 켜져 있으며 ECG상 QRS파가 크고 PR 간격이 짧아져 있습니다. 보통 심잡음은 들리지 않습니다. 심부전이 진행되기 전까지는 간이 정상 크기이며, 뇌 발달도 정상입니다. 보통 1년 이내에 급격히 진행하여 심폐부전 혹은 폐렴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소아형은 2세 이후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운동 및 근력 발달의 저하를 보이며 저긴장증을 보이나 눈에 띠는 심근병증은 생기지 않습니다. 서서히 진행하여 성인기 이전에 호흡부전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성인형은 10대 이후부터 60세 사이에 서서히 진행되는 근육병증으로 나타나며 심장의 침범은 없습니다. 요대 근육, 척추 주위 지지 근육 및 횡격막 등이 주로 침범되어 보행 장애, 수면장애, 수면 무호흡이나 호흡 부전을 보이게 됩니다.


진단

확진을 위해서는 피부의 섬유아세포나 근육 조직에서 acid alpha-glucosidase의 결핍을 확인 해야하지만, 최근에는 말초 혈액의 림프구에서도 일종의 처치를 한 뒤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영아형은 효소의 완전한 결핍을 보이나 성인형에서는 잔존 효소 활성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육 조직 검사 소견은 막에 둘러싸인 글리코겐을 다량 포함한 큰 공포(vacuole)와 리소좀 외부에 부유하는 PAS 염색 양성의 글리코겐 물질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태아 융모막 검사로 효소 활성도 측정 혹은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산전 진단이 가능합니다. 원인 유전자인 GAA 유전자의 돌연변이 검사 또한 확진을 위해 널리 시행되고 있습니다. 근육 효소들(creatine kinase, lactate dehydrogenase)이 상승되어 있고, 혈장 acid phosphatase가 증가되어 있습니다.


치료

고단백 식이, 특이 branched-chain 아미노산의 다량 섭취가 근력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골수 이식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심장이나 호흡기계의 증상에 대한 보존 치료가 필요하며, 근력 증강을 위해 재활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염에 특히 주의해야 하며, 예방접종을 철저히 해야 하고, 매년 독감예방접종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전신 마취하에 수술을 해야 할 경우 수술 전 반드시 담당의사와 마취의 위험성에 대해 상담이 필요합니다.
최근 acid alpha-glucosidase(Myozyme) 대치 요법이 개발되어 2006년에 미국 FDA의 공인을 받았으며, 환자의 치료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영아형에서 생존기간을 연장하고, 근력을 회복시킴이 증명되었으며, 최근에는 소아형과 성인형에서도 효과를 보인다는 보고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2009년 12월에 영아형에서 효소대치요법이 보험적용을 받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효소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후

근력 저하의 정도와 진행 속도는 환자의 acid alpha-glucosidase 효소의 잔존량에 따라 다르나, 점차 진행하여 보행 장애와 호흡 장애가 초래됩니다. 영아형의 경우는 심장 근육의 침범이 있어 비후성 심근병증에 의한 심부전으로 대부분이 영아기에 사망합니다.


관련사이트 및 참고문헌

http://www.ncbi.nlm.nih.gov/bookshelf/br.fcgi?book=gene&part=gsd2
Winkel LP, Hagemans ML, van Doorn PA, Loonen MC, Hop WJ, Reuser AJ, van der Ploeg AT. The natural course of non?classic Pompe’s disease; a review of 225 published cases. J Neurol. 2005 Aug;252(8):875-84.
Kim DG, Jung K, Lee MK, Hyun IG, Lim HJ, Song HG, Chi JG. A case of juvenile form Pompe's disease manifested as chronic alveolar hypoventilation. J Korean Med Sci. 1993 Jun;8(3):221-224.
Kishnani PS, Corzo D, Nicolino M et al. Recombinant human acid [alpha]-glucosidase: major clinical benefits in infantile-onset Pompe disease. Neurology 2007;68:99-109.
Nicolino M, Byrne B, Wraith JE et al. Clinical outcomes after long-term treatment with alglucosidase alfa in infants and children with advanced Pompe disease. Genet Med 2009;11:210-219.

  • 현재 페이지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이메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8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2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